약물인성 파킨슨증
|
약물인성 파킨슨증(Drug-induced parkinsonism)
* 약물인성 파킨슨증의 증례 병원에 오면 자주 정신과 환자들이 함께 병원 주위를 걸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같이 얼굴에 표정이 없고 어깨가 굳고 구부정한 자세를 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눈에 초점이 없으면서 눈깜박임도 현저히 줄어 있습니다. 간혹 손이 떨리는 환자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징후는 향정신약물 복용으로 인해 부분적인 파킨슨증이 발생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약물인성 파킨슨증의 증례)
* 파킨슨증(Drug-induced parkinsonism)을 유발하는 약물 약물에 의해서도 파킨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발 약물은 작용 기전에 따라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즉 1) 신경연접부의 도파민을 고갈시키는 약물(예, reserpine, tetrabenazine),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예, 항정신병약, 항오심약), 도파민성 흑질-선조체 신경회로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약물(MPTP), 기타 아직 그 작용기전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파킨슨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된 약물에는 flunarizine, cinnarizine, diltiazem, 항부정맥제(예, amiodarone)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편집자의 경험으로는 음주로 인해 파킨슨증이 발생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 약물이 파킨슨증을 유발하는 작용 기전) * 약물인성 파킨슨증과 특징적인 파킨슨병의 차이점 약물에 의한 파킨슨증은 특징적인 파킨슨병과 달리 1) 초기에 완서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뒤따라 강직이 나타나는 소견을 보입니다. 그리고 진전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자주 나타나는 편은 아닙니다. 진전이 나타나더라도 휴지기성 진전 뿐만 아니라 자세성 진전도 나타납니다. 2)완서나 강직 또는 진전이 파킨슨병에서는 일측에서 먼저 시작되지만, 약물인성 파킨슨증에서는 이러한 징후들이 양측성으로 나타납니다. 3) 약물인성 파킨슨증에서는 진행이 급성 또는 아급성으로 진행되는 데 비해, 파킨슨병에서는 만성으로 진행됩니다. 4) 항콜린성 제제에 대해 약물인성 파킨슨증에서 파킨슨병보다 더 현저한 반응을 보입니다. 5) 파킨슨증을 유발한 약제를 제거하면 약물인성 파킨슨증은 수주 또는 수개월 만에 회복됩니다만, 파킨슨병은 점진적으로 진행합니다.
(약물인성 파킨슨증의 파킨슨병과 감별점)
(파킨슨증을 유발하는 약물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