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약물적치료



 

 1. 비약물적 치료 개요


* 파킨슨병의 비약물적 관리란? 

일단 파킨슨병으로 진단되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약물 요법과 함께 생활 전반에 걸쳐 비약물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일상 생활과 연관된 비약물적 관리 범주에는 운전, 물리 치료, 운동작업 치료, 심리 치료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동반되는 질환에 대해서도 비약물적 치료가 이루어지는데, 여기에는 언어장애 치료, 연하장애 관리, 과다 침분비 관리, 영양부족에 대한 관리, 변비 관리, 습진 관리, 성 부전에 대한 관리, 수면 장애 관리, 치아 관리 등이 있습니다. 


* 운전에 대한 주의 

운전은 현대인이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상당히 필요한 기술입니다. 그런데 파킨슨병에 이환이 되면 운동이 느려지고 운동 반사가 잘 되지 않으며 판단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운전이 힘들게 됩니다. 더욱이 운전 중 운동 동결 현상이 나타나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 동결 현상은 갑작스런 상황이나 심리적 흥분 상태에서 잘 나타나기 때문에 운전 중 돌발적 상황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병의 정도가 심해지면 가급적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운동의 필요성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운동은 필수적입니다. 운동은 근육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정신적인 편안함을 줍니다. 파킨슨병은 움직이는데 장애가 있기 때문에 근육의 강도를 유지하고 유연성을 호전시키며 가동성도 증가시켜줍니다. 운동이 비록 병의 진행을 억제하지는 못하지만 평형 유지 능력을 개선시키고 보행 장애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또 음식물 삼키기와 말하기와 관련된 근육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병의 만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관절의 구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어떤 운동이 좋은가? 

운동 유형은 개인의 증상,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온 사지를 신전시키고 움직일 수 있는 데까지 최대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으로 가능하다면 빨리 걷는 운동이 추천됩니다. 전문가들은 수영에 익숙한 환자들에게 수영을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똑바로 가기 위해서는 몸을 잘 쓰지 않는 부분을 더 활발히 움직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골프나 테니스, 자전거 타기, 댄스 등도 친숙한 운동이라면 이런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추천되는 운동 또는 취미 생활은 정원가꾸기, 걷기, 수영, 수중 에어로빅, 요가, 기공 등입니다. 스스로 운동하기에 제한이 있는 환자분은 물리 치료사에게 운동 프로그램 구성을 의뢰할 수 있습니다. 


* 운동할 때 참고할 사항들  


1. 운동은 천천히 시작해서 규칙적인 정규 운동을 한 후에 서서히 마칩니다. 

2. 안면 근육, 턱, 음성 근육을 운동합니다. 

3. 노래나 글읽기를 크게 하면서 입술 운동을 크게 합니다. 

4. 거울 앞에서 자주 여러 가지 표정을 만들어 봅니다. 

5. 음식물을 활기차게 씹습니다. 

6. 음식물을 씹을 때는 작은 덩어리로 최소 20번 이상 씹습니다. 

6. 음식물을 삼킬 때는 어깨와 목을 쭉 펴고 바로 앉아서 의식적으로 꿀떡 삼킵니다. 

7. 물속에서의 운동을 즐겨합니다. 물속에서는 관절을 쉽게 움직일 수 있고 평형 장애가 있어도 덜 제한을 받습니다. 

8. 미끄러운 바닥이나 어두운 조명 하에서 운동을 피합니다. 

9. 평형에 이상이 있으면 운동을 하다가 언제든지 지지물을 잡을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서 운동을 합니다. 

10. 혼자 일어나기 힘들면 침대에서도 운동을 합니다. 

11. 피곤하거나 무리를 느끼면 운동을 중단합니다. 


* 걷는 운동의 요령은? 

하루에 약 1.6 km정도를 매일 힘차게 걷는 것이 좋습니다. 병이 진행될수록 팔의 움직임이 없어지고 어깨가 굽어지며 목도 굽어져 아래쪽으로 쳐다보게 되는데, 이런 상태로 걸으면 운동으로서 큰 효과를 누릴 수 없습니다. 병의 진행과는 반대로 얼굴을 수평이상으로 쳐들고 어깨와 목을 바르게 하며 무게 중심을 약간 뒤로 한다는 기분으로 팔을 힘껏 저으며 힘차게 걸어야 합니다. 보폭은 가급적 크게 하고 발사이 간격은 약간 넓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보행 동결이 나타나면 높은 제자리 걸음을 여러번 반복하면 동결이 풀어질 수 있습니다. 


* 의자에서 일어나는 요령 

파킨슨병 환자는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나는 운동이 잘 되지 않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몸을 앞으로 45도정도 기울입니다. 그리고 한발은 의자 바로 앞에 두고 다른 발은 이보다 반보정도 앞에 놓습니다. 그리고 손을 의자 앞 양쪽을 잡습니다. 그런 연후에 팔을 뻗으며 앞으로 일어나 걸어 나갑니다. 이 동작을 연속적으로 하면 부드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의자에 앉는 요령 

의자에서 일어나는 요령과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즉 먼저 앉을 의자에 등을 대고 섭니다. 그리고 한 발을 뒤로 냅니다. 몸을 45도 정도 앞으로 숙이면서 천천히 앉습니다. 앉으면서 의자의 옆을 손으로 잡아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구부러진 어깨를 펴는 운동 

벽에 등을 대고 선 후에 벽면에 머리, 어깨, 엉덩이, 발꿈치가 닿도록 합니다. 그런 연후에 벽에서 떨어져 나와 걸음을 걷습니다. 다시 벽에 등을 대고 이전 동작을 되풀이 합니다. 


* 보행 장애에 대한 관리 

병이 진행함에 따라 보행이 점차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행 장애가 나타나는 이유는 우선 1) 강직과 서동이 있고, 2) 양쪽 근육의 수축도가 다르며, 3) 걸을 때 몸무게 이동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환자가 걸을 때 무게 중심 이동이 원활히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례로 보행을 과장되게 하게 되면 무게 중심을 다소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씩씩하게 큰 걸음으로 손을 크게 흔들며 몸을 뒤로 젖히고 수평보다 상방을 바라보고 걷도록 주문합니다. 이때 발을 약간 벌려 걷게 하는 것이 넘어짐을 예방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됩니다. 처음 출발할 때 주저주저하는 행동(start hesitation)이 자주 나타납니다. 그리고 일시적으로 발이 땅에서 떨어지지 않는 보행동결 현상(freezing)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경우에 크게 제자리 걸음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출발하기 전에 “준비, 자, 앞으로”처럼 말을 크게 하면서 운동을 시작하는 것도 보행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언어장애에 대한 관리 

파킨슨병이 진행되면 목소리가 줄어들고 발음이 정확하지 않으며 발음의 높낮이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처음에는 제법 큰 소리로 이야기하다가 점차 목소리가 죽어듭니다. 언어장애가 나타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1) 호흡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것, 2) 발성 근육에 강직과 서동이 있는 것, 3) 입술을 빠는 행동, 혀를 내미는 행동 등 이상운동의 발현 등이 있습니다. 언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빨리 언어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언어를 훈련하는 방법은 우선 호흡 조절부터 시작합니다. 호흡을 크고 분명하게 하도록 주문합니다. 목소리도 크고 분명하게 하도록 주문합니다. 일단 이러한 훈련이 가능하면 한 호흡마다 가능한 언어수를 점차 늘려갑니다. 환자가 스스로 책을 읽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도 언어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거울을 보면서 스스로 말을 할 때 얼굴이나 입 놀림, 혀놀림을 보고 교정하도록 하는 것도 언어장애 극복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심리 치료 

파킨슨병은 주로 황혼기에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불청객입니다. 다른 친구들은 이제 퇴직하여 느긋하게 남은 삶을 즐겁게 보낼 계획을 잡고 있는데, 파킨슨병에 걸린 환자는 앞으로 본인에게 닥칠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걱정으로 실의에 빠지기 쉽상입니다. 내가 얼마지나면 가족들에게 전적으로 의존해야 할 텐데 이를 어떡하지? 치료는 받아야 하는데 끝없이 들어갈 치료비는 어떻게 마련하지? 점차 병이 진행하면 내 몸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 등등 걱정이 끝이 없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파킨슨병 환자들이 우울증에 빠지게 됩니다. 주위 가족들과 친지들은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여 환자를 보다 포근히 감싸주어 환자가 심리적 안정을 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치아 관리 

파킨슨병 환자에서 치아에 이상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습니다. 그 이유는 1) 구강 건조와 2) 불충분한 구강 위생, 3) 약물에 의한 치아 손상 등입니다. 구강 건조는 진전을 억제하는 항콜린성 제제나 우울증 치료에 쓰이는 항우울제에 의해 잘 발생합니다. 파킨슨병 환자는 침을 잘 삼키지 못하기 때문에 침을 흘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러 침을 덜나오게 하려고 상기 약제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침은 살균 작용이 있고 구강 정화 작용이 있습니다. 침분비가 감소하게 되면 이로 인해 치주염, 카리에스(우식) 등이 잘 발생합니다. 한편 파킨슨병 환자는 강직, 서동 등 행동이 불편한 관계로 구강 위생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보호자는 구강을 청결히 하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할 것입니다. 레보도파는 치아의 에나멜질을 무르게 하여 카리에스를 잘 발생하도록 합니다. 


* 가족 관리 

파킨슨병에 이환된 환자가 겪는 고통도 물론 심하지만 주위 가족들이 감당해야하는 정신적 육체적 부담도 대단합니다. 제가 관리하는 환자중 한 분이 초등학교 교감 선생님이셨는데 퇴직을 몇 년 앞두고 파킨슨병에 이환되었습니다. 처음에 부인의 얼굴은 크게 어둡지 않았으나 날이 갈수록 얼굴에 그림자가 짙게 내려앉았습니다. 잘 걷지도 못하는 남편을 부축하며 진료실을 들어오면서 예전과 같은 웃음이 사라진 부인의 모습이 측은했습니다. 가족들은 왜 이러한 병이 내 가족에게 왔는지 분개하고 우울해 합니다. 또 한편으로는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며 사회와 격리된 생활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간호하느라 피곤에 지친 모습도 역력합니다. 이런 가족들에게 환우 모임은 많은 위로와 도움을 줍니다. 환자 간호에도 좋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국내에도 이런 환우 가족 모임이 있습니다. 가족분들은 이러한 모임을 통해 서로 위로를 받고 어려움을 함께 헤쳐나가는 지혜를 나누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 채식이 좋은 이유 

파킨슨병에 이환되면 복부 장기 기능도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음식물이 정체하여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며 만성변비가 잘 발생합니다. 채식을 하면 크게 두가지 점에서 파킨슨병 환자에게 좋습니다. 그 하나는 육식의 영양분이 장에서 레보도파와 서로 흡수되려고 경쟁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하나는 레보도파가 뇌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뇌-혈관 장벽(BBB)을 통과하게 되는데 여기서도 레보도파의 흡수를 방해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채식을 하면 변량이 많아져서 배변이 순탄해지며, 장을 자극하여 장이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하기 때문에 변비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2. 물리요법


... 준비중입니다.



3. 운동요법


파킨슨병의 운동요법 


전북대학교병원 신경과 

서 만 욱 


 근육의 긴장도와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파킨슨병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점이다.

부분적으로 약물이 이러한 상태를 만들어 주지만,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매일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아래의 운동 요법은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근육의 긴장도와 근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게 하고 사지와 척추의 변형을 예방한다. 


1. 파킨슨병 환자의 기본 운동  

1) 걸을 때마다 발가락을 위로 들어올린다. 

2) 걷거나 돌 때 다리를 30 cm 정도 벌린다. 발사이 간격을 벌림으로서 저변이 넓어져 안정이 되고 넘어짐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별로 좋게 보이지는 않지만 넘어지는 것보다 낫다. 

3) 안전하게 돌기 위해 작은 스텝으로 다리를 벌려 돈다. 다리가 꼬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몇 미터 정도 걸어갔다가 돌아서 반대방향으로 오는 연습을 하루에 적어도 15분 이상 실시한다. 

4) 방의 코너 쪽으로 걸어가는 연습을 자주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막히거나 좁은 공간에 대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다. 

5) 몸의 평형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빠르게 걷는 연습을 한다. 전방을 향해 또는 뒷걸음으로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방향을 트는 연습을 한다. 5분간씩 매일 여러 번 실시한다. 

6) 만약 발바닥이 땅에 붙은 듯한 느낌이 들면, 발가락을 들어올리면 근 경직을 제거할 수 있으며 넘어짐에 대한 공포를 없앨 수 있다. 발가락이 들어올려지면 얼마든지 걸음을 걸어 나갈 수 있다. 

7) 걸을 때 자유스럽게 팔을 흔든다. 팔을 흔듦으로서 다리에 걸리는 하중을 줄일 수 있고,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팔과 어깨를 풀어줄 수 있다.  

8) 만약 의자에서 일어나기가 힘들면, 속도를 빠르게 하여 일어나면 체중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다. 앉을 때는 빠르게 앞으로 숙인다음 한쪽 팔이 팔걸이 의자에 닿을 때까지 서서히 앉는다. 이러한 동작을 하루에 12번 이상 반복한다. 

9)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반대편 쪽 손에 쇼핑백이나 책을 들도록 해서 구부러짐을 적게 한다. 

10) 셔츠 의 단추를 잠그기 힘들거나 침대에서 일어나기 힘드는 등 어떤 동작이 잘되지 않으면 하루에 20번 반복해서 그 동작을 연습한다. 21번째는 제대로 될 것이다. 


2. 경직된 근육과 자세 이상의 교정  


1) 선 자세 

- 벽을 마주한 채 20-30센티 떨어져서 벽의 꼭대기를 향해 양손을 깍지를 낀 채 팔을 쭉 뻗어 올린다. 벽 쪽으로 몸을 기울이면서 스트레칭을 한다. 

- 벽에 등을 댄 자세에서 걷는 것처럼 좌우를 번갈아가면서 무릎을 구부려 다리를 가능한 높이 들어 올린다. 

- 안전하게 주위 지지물을 단단히 잡고 무릎을 구부려 웅크려 앉는다. 그런 다음 서서히 일어난다. 


2) 바닥에 앉은 자세 

- 바닥에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쭉 펴고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려 발가락에 닿도록 상체를 앞으로 구부린다. 

-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려 귀에 붙인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번갈아서 몸통을 기울인다. 

- 양 손을 등 뒤 바닥에 대고 다리를 편 상태로 엉덩이를 최대한 들어 올린다. 

- 바닥에 앉은 자세에서 팔을 옆으로 펴서 좌우로 몸통을 최대한 비틀어 본다. 

- 양 발뒤꿈치를 낭심부위로 끌어당겨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앞으로 상체를 최대한 구부려 본다. 

- 목을 움직여 앞, 뒤, 좌회전, 우회전, 좌측 어깨에 대기, 우측 어깨에 대기를 한다. 

- 양 어깨를 귀쪽으로 으쓱 끌어올린다. 


3) 등받이 없는 의자에 앉은 자세 

- 다리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고 양손으로 무릎을 잡아당겨서 가슴에 닿도록 한다. 이때 허리를 똑 바로 세운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596_2572.gif
 

- 발가락을 지면으로부터 번갈아 들어 올린다. 

- 발뒤꿈치를 지면으로부터 번갈아 들어 올린다. 

- 한쪽 발을 옆으로 쭉 뻗은 상태에서 발목 관절을 굴곡, 신전시킨다. 반대 발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16_9987.gif
 

- 한 팔로 앞에서 뒤로, 뒤에서 앞으로 큰 원을 그린다. 다른 팔도 동일하게 실시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30_6649.gif
 

- 몸 앞으로 팔을 교차하여 머리위로 들어올려서 옆으로 두 개의 큰 원을 그린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45_1635.gif
 

- 양 팔을 등 뒤로 돌려서 박수를 친다. 이번에는 양팔을 앞으로 최대한 뻗어 어깨 높이에서 박수를 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58_9531.gif
 

- 팔을 들어 머리 위에서 박수를 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71_1514.gif
 


4) 등받이 있는 의자에 앉은 자세 

- 등받이가 수직인 의자에 앉아서 팔을 의자 뒤에 위치하고 어깨를 뒤로 최대한 벌린다. 머리를 들고 천장을 쳐다본다. 

- 등받이가 수직인 의자에 앉아서 빗자루 끝을 양손으로 잡고 머리 위로 올려 최대한 머리 뒤로 넘긴다. 이때 머리와 어깨는 반듯한 자세를 유지한다. 

- 등받이가 수직인 의자에 앉아서 마주한 다른 의자에 한쪽 다리를 들어 올려놓고 무릎을 곧게 편 자세를 15분간 유지한다. 다리를 번갈아 가면서 실시한다. 

-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번갈아서 무릎을 높이 올리며 발을 구른다. 


5) 바닥에 누운 자세 

- 편안하게 누워서 쉼호흡을 크게 한다. 

- 바닥에 누워서 등으로 바닥을 향해 압박을 가한다. 그런 다음 머리를 오른쪽, 왼쪽으로 움직인다. 이때 머리와 어깨, 등 및 무릎은 바닥에 닿아 있도록 한다. 

- 무릎을 올려 세워 양 발바닥이 바닥에 닿도록 한다. 양팔을 벌리고 엉덩이를 들어올린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87_6494.gif 

- 팔을 벌린 상태에서 양쪽 무릎을 올린 채 한쪽으로 돌려서 양 무릎이 한쪽 바닥에 닿도 록 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699_4578.gif
 

- 오른팔을 크게 들어 올려서 머리 위를 지나 오른 손이 왼손에 가서 닿도록 한다. 그 반대로 실시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710_9968.gif
 

- 팔을 몸통 옆에 나란히 둔 상태에서 팔을 바닥에서 떼지 않고 머리위로 올려 양 손등이 붙게 한다.  

- 무릎을 세워 양 발바닥이 바닥에 닿는 자세를 취한다. 오른 팔을 머리위로 들어올려 왼편 어깨 30 cm 윗부분에 손가락이 닿도록 한다. 이때 오른 어깨는 바닥으로부터 들려진다.

- 양팔을 머리위에 올려 귀에 붙도록 한 다음, 한 방향으로 몸을 대굴대굴 굴러본다. 반대 방향으로도 실시한다.  

- 팔과 다리를 공중으로 수직으로 들어올려 흔든다.  

- 가능하면 상체를 일으켜 앉는 운동을 반복한다(복근 운동).  


6) 바닥에 엎드린 자세 

- 손을 뒤로 하고 상반신과 머리를 들어 천정을 본다. 이때 상반신이 바닥으로부터 떨어 지게 한다. 

- 수영을 하는 것처럼 번갈아가며 다리로 허공을 찬다.  

-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  


3. 밸런스를 더 좋게 하기 위한 운동 


1) 손을 허리에 올리고 선 자세에서 다리를 약간 벌린다. 이 자세에서 

  a. 제자리 걷는 연습을 한다.  

  b. 뒤로부터 앞으로 발을 들어올린다.  

  c. 옆으로 발을 들어 올린다.  

  d. 다리로 동그라미를 그린다.  


2) 손을 옆에 늘어뜨린 채, 다리를 약간 벌린다. 이 자세에서 

  a. 앞으로 기울이고 뒤로 기울인다.  

  b. 양 옆으로 기울인다.  

  c. 좌우로 몸을 회전시킨다.  


4. 보행 연습  


1) 앉은 상태 

- 앉은 자세에서 걷는 포즈를 취한다. 한 팔과 반대 다리를 동시에 들어올렸다가 내려놓는다. 반대쪽 팔과 다리로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 동작을 힘차게 크게 실시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731_9158.gif
 


2) 제자리걸음 

- 팔과 다리를 높이 들고 힘차게 제자리걸음을 한다. 발로 바닥을 강하게 친다. 처음에는 천천히 갈수록 보행 속도를 빠르게 한다. 똑바로 서는 데 어려움이 있는 분은 아래와 같이 두개의 의자 등받이를 잡는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747_9619.gif
 


3) 걸을 때 

  a. 다리를 벌린 자세로 하여 몸을 꼿꼿이 세운다.  

  b. 앞으로 걸어 나갈 때 발가락을 들어 뒷발꿈치로 바닥을 치게 한다.  

  c. 걸을 때 최대한 보폭을 크게 하여 걷는다.  

  d. 머리를 곧게 세워 시선을 상방 약 5도로 향하면서 팔을 힘차게 흔든다.  


4) 신문지를 간격이 일정하게 일렬로 깔아 놓고 그 위를 걷는 연습을 한다. 신문지의 간격은 최대한의 보폭이 되도록 한다. 


5) 팔을 잘 흔드는 훈련을 하기 위해 양손에 둘둘 만 신문지를 들고 걷는다. 이때 팔꿈치는 최대한 편다. 


6) 옆으로 걸어가는 연습, 뒷걸음질 하는 연습, 큰 스텝으로 걷는 연습을 한다.  


7) 가능하다면 매일 야외에서 활기차게 걷는 연습을 한다. 명랑한 음악과 함께 리듬을 살려 팔다리를 높이 들어 크게 걷는다. 


8) 풀 장안에서 걷기 연습을 한다. 평소 쓰지 않는 근육을 강화할 수 있으며 평형감각을 잡는 데 도움이 된다. 



5. 도는 동작 연습 


1) 돌 때 

  a. 다리를 약간 벌린 상태로 하고 머리를 꼿꼿이 세운다. 

  b. 작은 스텝으로 돈다.  

  c. 무릎 위까지 다리를 들어 올리면서 돈다.  


2) 만약에 발이 바닥에 들어붙은 느낌이 들면, 

  a. 머리를 꼿꼿이 세우고, 뒷발꿈치에 몸무게를 실으면서 발가락을 들어올린다.  

  b. 몸을 좌우로 흔드는 중에 무릎을 약간 구부리다가 펴는 동작을 하면서 발가락을 들어 올린다.  

  c. 팔을 갑자기 들어올리면 발을 떼는 데 가끔씩 도움이 될 수 있다.  


3) 탁자를 이용한 연습 

둥근 탁자 주위를 돈다. 처음에는 앞으로 돌고 그 다음에는 뒷걸음으로 돌아본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768_1368.gif
 


6. 의자에서 일어나기  


제1 방법 

1) 엉덩이를 의자 앞 끝에 위치시킨다. 

2) 몸을 앞으로 45도 정도 기울인다.  

3) 한 발은 의자 바로 앞에 두고 다른 발은 이보다 반 보정도 앞에 놓는다.  

4) 손을 의자의 팔걸이 양쪽을 단단히 잡는다.  

5) 하나, 둘, 셋, Go 하며 빠르고 힘차게 팔을 펴서 몸을 앞으로 밀어 일어난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782_4773.gif
 


이 동작을 연속적으로 연습하면 부드럽게 일어날 수 있다.  


제2 방법 


손은 깍지를 낀 상태로 양 팔을 앞으로 쭉 뻗는다. 걸상에서 일어나 똑바로 선다. 발에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몸을 앞으로 많이 뻗을수록 보다 쉽게 일어설 수 있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793_8444.gif
 


7. 의자에 앉기  


- 의자 앞으로 갈 때 의자 앞에서 발이 떨어지지 않으면 목표점을 의자에 두지 말고 의자 뒤에 있는 물체에 둔다. 걸어갈 때에 가능한 최대한 의자에 가까이 가도록 하며 의자에 가까이 가게 되면 앉는다. 

- 앉을 때는 의자에서 일어나는 요령과 반대로 한다. 


1) 먼저 앉을 의자에 등을 대고 선다. 

2) 한 발을 뒤로 낸다. 

3) 몸을 45도 정도 앞으로 숙이면서 천천히 앉는다. 

4) 앉으면서 의자의 옆을 손으로 단단히 잡아서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5) 의자에 풀썩 주저앉지 말고 의자에 서서히 접근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앉는다. 


8. 침대에서 일어나기 


- 침대머리 아래로 다리를 내리면 일어나는데 도움이 된다. 

- 침대 발끝에 끈을 묶어두면 잡고 일어나기 용이하다. 침대에서 몸을 힘차게 흔들다가 팔과 다리를 침대 한 편으로 던지듯 움직이면 일어나 앉기 용이하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811_8427.gif
 

- 누운 자세에서 양 무릎과 팔을 한쪽으로 모아서 팔과 손으로 몸무게를 지탱하며 일어난다.  


9. 팔과 손쓰기 


1) 손 운동 

  a. 손바닥을 서로 비빈다. 

  b. 주먹을 쥐었다가 쫙 편다.  

  c. 피아노 치기를 한다.  

  d. 엄지에 번갈아 남은 손가락을 차례로 대는 연습을 한다. 그런 다음 양쪽 손가락이 서로 엇물리게 연습한다(우측 그림).  

  e. 양손 깍지를 끼어 손바닥이 전방을 향하도록 쭉 내민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827_8599.gif
 

  f. 손 씻기를 흉내 낸다.  

  g. 손바닥이 아래위로 가도록 번갈아 돌린다.  

  h. 셔츠의 버튼을 잠그고 푼다.  

  i. 음식을 자른다.  

  j. 글을 쓴다.  

  k. 부드러운 고무공을 자주 힘차게 주무른다.  

  l. 손가락을 항상 바쁘게 움직인다.  

  m. 종이를 찢는다.  

  n. 포켓으로부터 동전을 꺼낸다.  

- 이러한 운동을 반복해서 실시한다.  


2) 스스로 옷을 입도록 노력한다. 가장 편하고 안전한 자세에서 옷을 입는다. 

3) 팔꿈치는 펴고 어깨는 늘어뜨리도록 노력한다. 팔과 어깨를 모든 방향으로 스트레칭 한다.  


10. 언어와 씹기 


1) 입술을 힘차게 움직이며 큰 목소리로 노래 부르기나 글 읽기 연습을 한다. 

2) 얼굴 근육을 최대한 움직이면서 알파벳을 암송하거나 수를 센다.  

3) 세 수를 할 때 얼굴을 마사지 한다.  

4) 아래턱과 위턱을 강하게 부딪쳐 본다.  

5) 음식을 씹을 때, 힘차게 오래 씹는다. 큰 덩어리를 그대로 삼키지 않는다.  


11. 구부러진 어깨, 허리 펴기 운동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841_9856.gif
 


파킨슨병이 진행하면 어깨와 허리가 굽어진다. 이러한 자세는 몸무게를 앞으로 쏠리게 하여서 보행 장애를 더 악화시키며 앞으로 넘어져서 부상을 받는 위험도 초래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바닥에 엎드린 상태에서 손을 뒤로 한 채 최대한 머리와 상반신을 천장 쪽으로 들어올린다. 손을 등 뒤로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가슴 앞에 팔꿈치 관절을 굽혀 전완을 바닥에 댄 채 머리와 상반신을 들어올린다. 


12. 안면 운동  


- 거울을 보고 하면 효과적이다. 


1) 입을 크게 벌려 본다. 

2) 입술을 오므린 상태에서 공기를 들이마신 후 내쉰다.  

3) 입술을 최대한 옆으로 폈다가 다시 오므린다.  

4) 입술 가장자리를 아래로 끌어 내린다.  

5) 아래턱을 앞으로 내밀어 본다.  

6) 턱을 좌우로 움직여 본다.  

7) 볼 안에 공기를 넣어 좌우측을 번갈아 부풀린다. 입술을 약간 벌려 공기를 입 밖으로 불어낸다. 

8) 눈을 감는다. 눈을 뜸과 동시에 눈썹을 위로 올린다.  

9) 눈을 강하고 빠르게 깜박거리는 운동을 한다.  

9) 혀를 내밀어 좌우 앞뒤로 움직인다. 혀를 입안에서 동그랗게 말기도 하고 입안에서 이리 저리 굴려 본다.  

10) 웃는 모습, 성난 모습을 흉내 낸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854_6451.gif
 


13. 호흡 운동 


1) 정지 상태에서 쉼 호흡을 크게 한다. 

2) 숨을 들이 쉰 상태에서 기도를 막고 흉곽을 압박한다.  

3) 걸으면서 크게 코로 들이쉬고 입으로 내쉰다.  

4) 양손 검지로 코를 누르면서 흡식 호흡을 한다. 입으로 크게 내쉰다.  


14. 기타 운동 

1) 전신의 관절을 최대한의 가동 범위로 운동을 한다. 견관절의 경우에 팔을 올리는데 어려움이 있으면 벽을 바라보고 서서 깍지를 낀 손을 벽에 대고 가능한 높이 올린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868_9547.gif
 

2) 전신 근육의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일례로 바닥에 하늘을 보고 반드시 누워서 머리위로 손을 올려 반대편 어깨 위쪽에 손이 닿도록 한다. 이때 몸통과 엉덩이도 함께 돈다. 

bc3dc82e2e68866a80d88856033ed05b_1615441882_9959.gif
 

3) 전신의 근육을 마사지 한다. 본인이 하기 어려우면 보호자의 도움을 받거나 전문 샵에서 마사지를 받는다. 전동 마사지 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REFERENCE 


Http:// www.cnsonline.orrg/www/archive/parkins/park-03.html 


Schomburg M.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http://www.js-parkinson.com 정산임상신경센터 파킨슨병클리닉 


http://www.js-silver.kr 정산임상신경센터 노인병클리닉